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JUnit http://www.nextree.co.kr/p11104/
Ajax Ajax 대표 property http://www.nextree.co.kr/p9521/http://www.nextree.co.kr/p4771/
VSCode 단축키 ctrl x 한줄 지우고 복사 shift del 한줄지움 alt shift a 블록주석 alt shift 방향키 한줄복사
객체지향의 5가지 개념 객체: 데이터, 행위,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는것 클래스: 객체를 생성하는 틀 캡슐화: 행위와 상태를 포장하고 외부에 노출할 것과 감출 것을 결정하는것. 외부에 노출되는 모든것을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상속: 핵심은 계층구조를 표현하는것. 재사용성도 얻을 수 있음 다형성: 캡슐화, 상속과 함께 동작함으로써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흐름제어를 단순화 한다. 하나의 계층에 속한 객체들이 같은 명령에 대해 다른 행위를 수행. 핵심은 흐름제어를 객체로 처리하도록 단순화 하는것
자바의 자료구조 소프트웨어를 극단적으로 단순하게 묘사하면 데이터를 입력받아 논리/산술 처리를 하고 출력데이터를 만들어내는 명령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두가지 요소로 요약하면 데이터와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이다. 명령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배우는것 => 알고리즘 복잡한 형태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배우는것 => 자료구조 데이터타입은 개별 데이터의 크기와 성질만을 정의한다. 자료구조는 데이터의 집합을 어떤 형태로 구성할 것이냐를 정의함 돌을 어떻게 쌓아야 무너지지 않을까와 같은맥락 좋은 자료구조는 효율성, 추상화, 재사용성 3가지 잇점을 제공함 효율성: 자료를 읽고, 쓰고, 찾는데 걸리는 시간 & 같은 시간에 처리 할 수 있는 작업량 추상화: 데이터 집합의 특징적인 형태에 따라 ..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API 프레임워크는 내가 안에 들어가서 사용하는것라이브러리는 내가 가져와서 사용하는것 라이브러리는 톱, 망치, 삽같은 연장사람이 들고 썰고, 바꿔들고 내려치고, 다시 바꿔들고 땅을 파고... 프레임워크는 차, 비행기, 배같은 탈것사람이 타서 엔진 켜고, 기어 넣고, 핸들 돌리고, 운전하고... 도구를 쓸 땐, 급하면 썰어야 할 곳에 망치를 치든 땅 파야할 때 톱으로 땅을 긁어내도 됨사람은 도구를 선택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어떤 도구를 사용하든 원하는 것을 만들어낼 수 만 있으면 됨. 반면에, 탈것은 정해진 곳으로만 다녀야 함. 차를 타고 하늘을 날거나, 배를 타고 땅으로 갈 수는 없음.하지만, 그 목적에 맞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톱이나 망치를 들고 먼저 탈것을 만들어야할 필요가 없음.그저 정해진 규칙에 맞춰..
Collection Collection(컬렉션) 자바에서 '목록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자료구조'를 통칭한다. 자료구조(Data Structure)는 어떤 정보를 담는 것을 의미하여, 하나의 데이터가 아닌 여러 데이터를 담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배열이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이며, DTO 또한 자료를 담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 자바에서의 자료구조 유형- 순서가 있는 목록인 List형-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목록인 Set형-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는 Queue형- KEY-VALUE의 형태로 저장되는 Map형 ※ List, Set, Queue는 Collection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다. Collection 인터페이스는 java.util 패키지에 선언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객체를 하나의 객체에 담아 처..
쿠키와 세션 HTTP프로토콜은 비접속형 프로토콜. 매 접속때마다 새로운 요청과 응답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태유지가 되지 않음. 요청이 들어왔을때 그 요청이 같은 사용자가 보낸것인지 확인하는 방법이 필요함 이것을 쿠키와 세션으로 해결가능 쿠키는 유저가 웹사이트를 방문할때 유저의 로컬 브라우저에 심겨지는 파일. key-value형식이며 서버는 이 쿠키를 읽어 요청에 대한 브라우저를 식별함. 하지만 쿠키는 로컬에 저장되기때문에 사용자가 변조 할 수 있음(위험함)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위해 세션을 이용함 세션은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를 식별함.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요청을 하면 서버 내에 해당 세션 정보를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게 세션ID라는 문자열을 줌. 이때 사용되는 쿠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연결이 끊..